반응형
안전자산 ‘금·은’ 투자 방법별 비교
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각 방식의 특징 · 매매차익 과세 · 수수료/세금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 (수치·정책은 기관/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)
방법 | 특징 | 매매 차익 | 세금 및 수수료(예시) |
---|---|---|---|
실물 투자 | 금거래소 등에서 실물(골드바/코인) 보유 | 비과세 | 부가가치세 10%, 수수료 약 5% + 세공비(1~2%) |
실버 뱅킹 | 은행 통장 개설 후 0.01g 단위로 은 입금/거래 | 배당소득세 15.4% | 거래수수료 약 1% 전후, 실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10% |
KRX 금시장 | 증권사 금 현물 계좌로 1g 단위 실시간 매수·매도, 골드바로 수령 가능 | 비과세 | 거래수수료 약 0.3% 전후, 실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10% + 골드바 제작비(약 2만원) |
간접 투자(ETF/ETN) | KRX 금현물 ETF, KODEX 은선물(H) 등. IRP·연금저축·ISA 가능 | 배당소득세 15.4% ※ 연금계좌 편입 시 과세이연 |
ETF 보수(약 0.5%+α). 연금계좌이면 인출 시 연금소득세(약 3.3~5.5%) |
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| 모바일 앱으로 금G·은e 거래(금 0.01g, 은 1온스/1g부터) | 비과세 | 거래수수료 약 0.3%~(거래량별 상이), 실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10% |
골드 신탁 | 보유 실물 금을 은행에 맡기는 신탁 상품(30g부터 가입) | 신탁이익금 기타소득세 20%(지방세 포함 22%) | 보관·감정·운영 수수료 약 0.3% 수준 |
빠른 선택 가이드
- 보관 번거로움 없이 비과세 원하면 → KRX 금시장
- 연금계좌에서 장기 분산 원하면 → 금/은 ETF, IRP·ISA 활용
- 실물 소장이 목적이면 → 실물 투자·골드 신탁(부가세·세공비 고려)
- 소액/앱 거래 선호하면 →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
- 은(실버) 통장으로 분할 매수 → 실버 뱅킹 (차익 과세 유의)
※ 실제 수수료·세목은 증권사/은행/거래소·상품마다 상이합니다. 투자 전 최신 약관과 공시를 확인하세요.
반응형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번의 추억 드라마 정보 (1) | 2025.09.14 |
---|---|
음식물 처리기, 무엇이 맞을까? 미생물 건조 분쇄식 비교 (0) | 2025.09.12 |
iPhone 17 Pro / Pro Max — 스펙 핵심 정리 (0) | 2025.09.11 |
📱 아이폰 17 (iPhone 17) 주요 특징 정리 (1) | 2025.09.11 |
한 번 익히면 평생 쓰는 ETF 전략 가이드 (1) | 2025.09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