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다이소 공급망 전략 해부
— ‘국내+해외 최적화’로 만드는 초저가·초회전 모델
3만여 개 SKU, 국내 70%·해외 30% 소싱, 3,500개 글로벌 직거래망을 기반으로 한 초저가·대량회전 구조를 정리했습니다.
#다이소 #공급망 #리테일전략
핵심 숫자 한눈에
3만+ SKU
취급 상품 수
국내 70% / 해외 30%
제조 비중(35개국 소싱)
3,500곳
해외 공급처(2014년 1,800→현재)
1,400+ 점포
매장 수(점포당 월매출 2~3억 추정)
※ 모든 해외 공급처는 직거래로 운영하여 중간 유통마진을 제거, 원가 경쟁력 강화.
공급망 운영 원칙
- 국내+해외 ‘혼합 소싱’ 최적화 — 국내 단가가 맞지 않는 품목은 직수입으로 전환, 가격대·품질·리드타임을 기준으로 소싱 의사결정.
- 직거래 네트워크 확대 — 35개국 3,500개 파트너와 직접 계약해 환율·원자재 변동에도 경쟁력 유지.
- SKU 다변화 & 빠른 테스트 — 소량·다품종을 빠르게 테스트하고, 반응 품목만 대량 확대.
포인트 — “중간마진 제로 + 글로벌 분산 소싱”으로 단가를 낮추고, 공급 리스크를 분산합니다.
매출 구조(사업가 관점)
① 단품당 마진 구조
- 저단가·저마진을 전제로 회전율·구매빈도로 커버하는 구조.
- 트래픽 유도(미끼) 상품을 전면에 배치 → 고객을 매장으로 불러 다른 카테고리 구매로 연결.
- 1000원·2000원 이하 상품이 매출 비중 75%+ — 가격 장벽을 최소화해 장바구니 규모 확장.
② 매장 운영 구조
- 전국 1,400여 개 점포, 월 2~3억 원 수준의 점포당 매출(추정).
- 연 매출 약 4조 원 규모에서 초저가 SKU가 거래량을 견인 → 현금흐름 안정화.
- 빠른 리드타임·상시 보충을 위한 표준화된 물류와 단순 진열로 인건비·운영비 절감.
가격 경쟁력의 근거
레버 | 설명 |
---|---|
직거래(Direct Sourcing) | 중간 도매 마진 제거 → 원가 절감, 리드타임·품질 직접 통제 |
분산 소싱 | 국내 70% 안정성 + 해외 30% 원가 절감(중국·일본 포함 35개국) |
볼륨 바잉 | 베스트 SKU 대량 발주로 단가 추가 하락 |
SKU 실험 | 빠르게 테스트→반응 데이터 기반 증산, 비효율 SKU는 즉시 퇴출 |
리스크 관리
- 환율·원자재 변동 → 국내/해외 비중 조정 및 장·단기 계약 믹스.
- 공급 병목 → 다중 공급처 확보(3,500곳)와 대체 소재·규격 운영.
- 수요 급변 → 실시간 판매 데이터로 자동 보충(BCP 관점의 안전재고 정책).
요약: 다이소 모델의 본질
“초저가 = 얇은 마진”이지만, 전국 단위의 대규모 회전과 현금흐름 안정으로 수익성을 만든다. 그 바탕에는 국내+해외 혼합 소싱, 직거래 네트워크, SKU 실험과 빠른 리플레니시가 있다. 결국 다이소의 경쟁력은 공급망의 설계 능력이다.
반응형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-pop Demon Hunters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 이유 총정리 (5) | 2025.08.13 |
---|---|
대구 출산지원 사업 현황 총정리 (2) | 2025.08.12 |
국립중앙박물관 굿즈, 왜 이렇게 잘 팔릴까?— ‘까치호랑이 배지’ 역주행의 비밀 (9) | 2025.08.11 |
법무법인 송무팀, 무슨 일을 하나요? (10) | 2025.08.11 |
팔란티어(PLTR) 투자 요약 & 분석 | Palantir Technologies Investment Brief (4) | 2025.08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