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일상

워드프레스 애드센스 승인, ads.txt 완벽 가이드

by surmountmyself 2025. 10. 27.
반응형

워드프레스 애드센스 승인, ads.txt 완벽 가이드

애드센스 승인 이후 수익 보호를 위해 꼭 설정해야 하는 ads.txt — 개념부터 설치, 점검, 오류 해결까지 한 번에 정리.

ads.txt가 뭔가요?

ads.txt(Authorized Digital Sellers)는 “이 도메인에서 광고를 판매(서빙)할 수 있는 공식 판매자 목록”을 선언하는 텍스트 파일입니다. 간단히 말해, 내 사이트의 광고 수익을 제3자가 도용하지 못하게 막는 인증서 역할을 합니다.

  • 광고 네트워크들은 광고 게재 전, https://내도메인/ads.txt를 확인하여 정품 판매자인지 검증합니다.
  • 애드센스 승인/정상 게재에도 중요한 조건입니다. 없거나 오타가 있으면 “찾을 수 없음/문제 있음” 경고가 뜹니다.

ads.txt 줄의 의미 (예시)

google.com, pub-1234567890123456, DIRECT, f08c47fec0942fa0
  • google.com : 광고 소스 도메인(네트워크, 여기선 구글)
  • pub-1234567890123456 : 내 애드센스 퍼블리셔 ID
  • DIRECT : 내가 직접 보유한 계정(DIRECT) / 대행을 쓰면 RESELLER
  • f08c47fec0942fa0 : 구글 인증 ID(고정)

⚠️ 쉼표/공백/대소문자까지 정확해야 하며, 줄마다 한 레코드씩 작성합니다.

워드프레스에 ads.txt 적용하기 (빠른 방법 → 플러그인)

  1. 애드센스 > 사이트 > 내 도메인 클릭 > ads.txt 문제 해결/조치 필요 버튼에서 제시된 문자열을 복사.
  2. 워드프레스 관리자 > 플러그인 > 새로 추가 에서 아래 중 하나 설치 후 활성화:
    • Ads.txt Manager
    • Advanced Ads – Ads.txt & app-ads.txt
  3. 플러그인 설정 화면에서 복사한 문자열을 그대로 붙여넣기 > 저장.
  4. 캐시 플러그인/클라우드플레어 사용 시 캐시 비우기(Purge).

직접 업로드(FTP/파일매니저) 방법

  1. 호스팅 파일 매니저 또는 SFTP 접속 → 사이트 루트(public_html)에 ads.txt 파일 생성.
  2. 애드센스가 제공한 줄을 그대로 넣고 UTF-8 (BOM 없음)으로 저장.
  3. 캐시 비우고 접속 확인.

정상 적용 확인 방법

  1. 브라우저에서 https://내도메인/ads.txt (그리고 https://www.내도메인/ads.txt)를 열어 텍스트가 그대로 보이는지 확인.
  2. 서버 응답 코드가 200 OK인지 점검(리디렉션은 1회 이내면 허용).
  3. 애드센스 “사이트” 탭은 보통 수시간~최대 24시간 내 “찾을 수 없음” 경고가 사라집니다.

자주 발생하는 오류 & 체크리스트

  • [ ] 퍼블리셔 ID(pub-) 오타/공백 없음
  • [ ] DIRECT / RESELLER 표기 정확
  • [ ] 구글 인증 ID f08c47fec0942fa0 포함
  • [ ] 파일명 정확히 ads.txt (확장자 .txt 필수)
  • [ ] 사이트 루트에 위치(서브폴더/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올리면 안 됨)
  • [ ] 캐시/보안 플러그인이 /ads.txt 접근을 차단하지 않음
  • [ ] www ↔ non-www 리디렉트가 이상 루프 없이 한 방향으로 정리됨
  • [ ] 멀티 광고 네트워크 사용 시 줄 단위로 하나씩 추가
고급 점검 (선택)
curl -I https://내도메인/ads.txt
# HTTP/2 200 이면 정상. 404/403/301 루프면 서버/캐시 설정 점검

여러 판매자 레코드가 있을 때

구글 외 다른 네트워크도 쓰면 각 레코드를 한 줄씩 추가하세요.

google.com, pub-1234567890123456, DIRECT, f08c47fec0942fa0
rubiconproject.com, 12345, RESELLER, 0bfd66d529a55807
openx.com, 987654321, RESELLER, 6a698e2ec38604c6

FAQ

Q. ads.txt가 없으면 광고가 안 나오나요?
A. 케이스에 따라 제한되거나 수익이 줄 수 있고, 애드센스 “조치 필요” 경고가 유지됩니다. 반드시 설정하세요.

Q. www와 non-www가 다른데 어디에 올리나요?
A. 최종 접속되는 호스트 기준으로 하나만 노출되면 됩니다(리디렉트 정리 권장). 두 도메인이 동시에 서비스되면 둘 모두 같은 내용으로 응답해야 합니다.

Q. 포털 캐시/클라우드플레어 때문에 갱신이 늦어요.
A. 저장 후 모든 캐시 삭제(Purge/가속 캐시 비우기)하고, 10~30분 뒤 다시 확인하세요.

요약: ads.txt는 내 도메인의 ‘공식 광고 판매자 목록’입니다. 워드프레스에 적용(플러그인 또는 직접 업로드) → /ads.txt로 접속 확인 → 캐시 비우기 → 애드센스에서 상태 해제까지 확인하면 완료!

반응형